易學原論 韓長庚

2024-08-25 02:58
文章标签 韓長 易學 原論

本文主要是介绍易學原論 韓長庚,希望对大家解决编程问题提供一定的参考价值,需要的开发者们随着小编来一起学习吧!

               

<目 次>

第一章 총론(總論)

第一節 상(象)과 법칙(法則)

‣천지(天地)는 한 태일체(太一體) http://skyyoon.tistory.com/229

‣상(象)과 자연법칙(自然法則)과의 관계(關係) http://skyyoon.tistory.com/228

‣사회(社會)와 생존법칙(生存法則) http://skyyoon.tistory.com/227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은 만상(萬象)의 대종(大宗) http://skyyoon.tistory.com/226

‣역리(易理)와 정치(政治) http://skyyoon.tistory.com/225

 

第二節 조직(組織)과 운행(運行)

‣천지(天地)와 일월(日月)의 작용(作用) http://skyyoon.tistory.com/224

‣조직(組織)의 음양성(陰陽性) http://skyyoon.tistory.com/223

‣운행(運行)의 사시성(四時性) http://skyyoon.tistory.com/222

‣조직(組織)∙운행(運行)의 계통(系統) http://skyyoon.tistory.com/221

 

第二章 대대원리(對待原理)

第一節 통일(統一)과 대대(對待)

‣일이이(一而二) 이이일(二而一)의 작용(作用) http://yoonsangki.tistory.com/97

‣유물론(唯物論)과 유심론(唯心論) http://yoonsangki.tistory.com/96

‣대대(對待)의 분포(分布) http://yoonsangki.tistory.com/95

‣통관(通觀)과 동관(童觀) http://yoonsangki.tistory.com/94

 

第二節 대대(對待)와 운동(運動)

‣대대(對待)의 호근(互根) http://skyyoon.tistory.com/216

‣대대(對待)의 균등(均등(等)) http://skyyoon.tistory.com/215

‣사회(社會)의 신진대사(新陳代謝) http://skyyoon.tistory.com/214

 

第三節 대대(對待)와 삼재(三才)

‣대대조직(對待組織)과 삼재운행(三才運行) http://skyyoon.tistory.com/213

‣삼색(三索)과 삼극(三極) http://skyyoon.tistory.com/212

‣능동(能動)과 수동(受動) http://skyyoon.tistory.com/211

‣개체(個體)와 통체(統體) http://skyyoon.tistory.com/210

‣안정(安貞)과 발용(發用) http://skyyoon.tistory.com/209

‣삼대용(三對用)의 착종(錯綜) http://skyyoon.tistory.com/208

 

第三章 대시(大始)와 정(情)

第一節 삼정(三情)(삼본능(三本能))

‣본능(本能)은 생존작용(生存作用)의 발단(發端) http://skyyoon.tistory.com/207

‣본능(本能)과 선악문제(善惡問題) http://skyyoon.tistory.com/206

‣선악(善惡)과 미추(美醜) http://skyyoon.tistory.com/205

‣악(惡)의 발생(發生)하는 까닭 http://skyyoon.tistory.com/204

 

第二節 感應

‣감응(感應)은 괴위중(乖違中)의 상교(相交) http://skyyoon.tistory.com/203

‣일음일양(一陰一陽)의 상배(相配) http://skyyoon.tistory.com/202

‣이간(易簡)의 이(理) http://skyyoon.tistory.com/201

第三節 萃聚

‣췌취(萃聚)는 분산중(分散中)의 통합(統合) http://skyyoon.tistory.com/200

‣점지진(漸之進)의 리(理) http://skyyoon.tistory.com/199

‣식물(食物)과 학문(學問)의 췌취(萃聚) http://skyyoon.tistory.com/198

‣권세(權勢)와 재화(財貨)의 췌취(萃聚) http://skyyoon.tistory.com/197

 

第四節 항구(恒久)

‣항구(恒久)는 변화중(變化中)의 불변(不變) http://skyyoon.tistory.com/196

‣진화론(進化論)과의 관계(關係) http://skyyoon.tistory.com/195

‣항구(恒久)는 생존(生存)의 기초(基礎) http://skyyoon.tistory.com/194

第五節 삼정(三情)과 사정(四情)

‣정대본능(正大本能) http://skyyoon.tistory.com/193

‣사람과 동식(動植)과의 비교(比較) http://skyyoon.tistory.com/192

‣삼정(三情)과 생활(生活)과의 관계(關係) http://skyyoon.tistory.com/191

‣정치(政治)의 삼정작용(三情作用) http://skyyoon.tistory.com/190

 

第四章 유형(流形)과 시용(時用)

第一節 삼시용(三時用)과 사시의(四時義)

‣상반(相反)의 속에 상제(相濟)가 있다 http://skyyoon.tistory.com/189

‣규이(睽異)의 시용(時用) http://skyyoon.tistory.com/188

‣함험(陷險)의 시용(時用) http://skyyoon.tistory.com/187

‣건난(蹇難)의 시용(時用) http://skyyoon.tistory.com/186

‣시용(時用)과 시의(時義) http://skyyoon.tistory.com/185

 

第二節 차등(差등(等))과 균평(均平)

‣호대호소(互大互小)의 원리(原理) http://skyyoon.tistory.com/184

‣현대(現代) 정치사상(政治思想)의 발원(發源) http://skyyoon.tistory.com/183

‣사회(社會)의 균평운동(均平運動) http://skyyoon.tistory.com/182

 

第三節 투쟁(鬪爭)과 조화(調和)

‣조화(調和)를 얻기 위(爲)한 투쟁(鬪爭) http://skyyoon.tistory.com/181

‣투쟁(鬪爭)과 조화(調和)의 반복(反復) http://skyyoon.tistory.com/180

‣악(惡)의 극제(克制)가 곧 투쟁(鬪爭)이다 http://skyyoon.tistory.com/179

‣지도자(指導者)의 시범(示範) http://skyyoon.tistory.com/178

 

第四節 안정(安定)과 유동(流動)

‣안정(安定)은 방(方)하고 유동(流動)은 원(圓)하다 http://skyyoon.tistory.com/177

‣방(方)과 원(圓)의 호근(互根) http://skyyoon.tistory.com/176

‣환주운동(圜周運動)과 직선운동(直線運動) http://skyyoon.tistory.com/175

‣자전(自轉)과 공전(公轉) http://skyyoon.tistory.com/174

 

第五章 변화(變化)와 역(易)

第一節 삼역(三易)

‣궁변통구(窮變通久) http://skyyoon.tistory.com/173

‣삼역(三易)의 혼륜(渾淪) http://skyyoon.tistory.com/172

第二節 변역(變易)

‣소장운동(消長運動) http://skyyoon.tistory.com/171

‣보수(保守)와 혁신(革新) http://skyyoon.tistory.com/170

‣양극(兩極)과 중간(中間) http://skyyoon.tistory.com/169

 

第三節 교역(交易)

‣정위적(定位的) 질서(秩序)와 교체적(交體的) 질서(秩序) http://skyyoon.tistory.com/124

‣권력(權力)과 도덕(道德) http://skyyoon.tistory.com/123

 

第四節 반역(反易)

‣만물(萬物)은 모두 반생(反生) http://skyyoon.tistory.com/122

‣신(新)이란 무엇인가 http://skyyoon.tistory.com/121

‣성반제(成反齊)의 이(理) http://skyyoon.tistory.com/120

 

第六章 대화(大和)와 중(中)

第一節 중(中)과 절(節)

‣대대(對待)․ 중심(中心)․ 통일(統一) http://skyyoon.tistory.com/119

‣태극(太極)이란 무엇인가 http://skyyoon.tistory.com/118

‣한도(限度)와 절(節) http://skyyoon.tistory.com/53

‣삼현일장(三顯一藏)의 이(理) http://skyyoon.tistory.com/52

 

第二節 중(中)과 화(和)

‣화(和)는 중운동(中運動)의 극치(極致) http://skyyoon.tistory.com/51

‣이간(易簡)의 우로(憂勞) http://skyyoon.tistory.com/50

‣전례(典禮)와 경건(敬虔) http://skyyoon.tistory.com/49

‣언사(言辭)와 풍악(風樂) http://skyyoon.tistory.com/48

‣예악(禮樂)의 근본정신(根本精神) http://skyyoon.tistory.com/47

 

第七章 운명(運命)과 자유의지(自由意志)

‣운명(運命)은 선천(先天)이오 자유의지(自由意志)는 후천(後天)이다 http://skyyoon.tistory.com/46

‣천명(天命)과 운명(運命)과의 관계(關係) http://skyyoon.tistory.com/45

‣관상학(觀相學)의 원리(原理) http://skyyoon.tistory.com/44

‣선천(先天)과 후천(後天)의 교호작용(交互作用) http://skyyoon.tistory.com/43

 

第八章 결론(結論)

‣사람의 생존(生存)하는 목적(目的) http://skyyoon.tistory.com/42

‣본능(本能)은 생존목적(生存目的)을 달성(達成)하는 수단(手段) http://skyyoon.tistory.com/41

‣무한(無限)한 즐거움 http://skyyoon.tistory.com/40

‣즐거움도 만인만색(萬人萬色) http://skyyoon.tistory.com/38

‣근심과 즐거움 http://skyyoon.tistory.com/38

 

【附錄 一】

역학(易學)과 우리 국문(國文)과의 관계(關係)

‣제자원리(制字原理) http://skyyoon.tistory.com/37

‣초성(初聲)은 사시(四時)의 이(理) 초성(初聲)은 십칠자(十七字) http://skyyoon.tistory.com/37

‣中聲은 三才의 理 中聲은 十一字 http://skyyoon.tistory.com/37

‣초(初)와 종(終)의 순환(循環) http://skyyoon.tistory.com/37

‣만성(萬聲)의 생생(生生) http://skyyoon.tistory.com/37

 

【附錄 二】

역학(易學)으로 본 귀신문제(鬼神問題)

‣귀신(鬼神)의 유무(有無) http://skyyoon.tistory.com/36

‣사람의 생사(生死)와 귀신(鬼神) http://skyyoon.tistory.com/35

‣신(神)․인(人)․동(動)․식(植) 의 사등류(四등(等)類) http://skyyoon.tistory.com/35

‣귀신(鬼神)의 이(理)와 정치(政治) http://skyyoon.tistory.com/33

 

【附錄 三】

역학(易學)으로 본 수(數)와 상(象)과의 관계(關係)

‣수(數)와 상(象) http://skyyoon.tistory.com/31

‣하도(河圖)와 낙서(洛書) http://skyyoon.tistory.com/30

‣구륙(九六)과 칠팔(七八) http://skyyoon.tistory.com/29

‣구륙칠팔(九六七八)은 생명(生命)의 호흡(呼吸) http://skyyoon.tistory.com/28

 

【附錄 四】

역학(易學)으로 본 시운(時運)의 변천(變遷)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는 시운(時運)의 상징(象徵) http://skyyoon.tistory.com/5

‣생존작용(生存作用)의 생(生)․장(長)․성(成) http://skyyoon.tistory.com/4

‣삼도(三圖)와 시운(時運)의 상(象) http://skyyoon.tistory.com/3

‣지금은 인류역사(人類歷史)의 전환기(轉換期) http://skyyoon.tistory.com/2

‣대운중(大運中)의 소운(小運)과 지역(地域)의 기운(氣運) http://skyyoon.tistory.com/1

 

 

 

 

 

 

 

 

这篇关于易學原論 韓長庚的文章就介绍到这儿,希望我们推荐的文章对编程师们有所帮助!



http://www.chinasem.cn/article/1104350

相关文章

易學)으로 본 時運의 變遷- 河圖 洛書 時運의象徵

역학(易學)으로 본 시운(時運)의 변천(變遷)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는 시운(時運)의 상징(象徵)   하도(河圖)는 북(北)의 일육(一六)은 수(水)이니 동(冬)의 상(象)이오, 동(東)의 삼팔(三八)은 목(木)이니 춘(春)의 상(象)이오, 남(南)의 이칠(二七)은 화(火)이니 하(夏)의 상(象)이오, 서(西)의 사구(四九)는 금(金)이니

易學과 우리 國文과의 關係-制字原理

易學과 우리 國文과의 關係 ‣제자원리(制字原理)   우리 국문(國文)은 그 제자(制字)의 원리(原理)를 천지(天地)의 자연법칙(自然法則)에서 본받은 것은 이미 알려진 일이오, 역학(易學)이 또한 자연법칙(自然法則)을 상(象)한 학문(學問)이므로, 국문(國文)과 역학(易學)은 한가지로 자연법칙(自然法則)에서 발원(發源)하여 그 파류(派流)가 두

周易正易 pdf -易學原理總論. 易經大意. 正 易-

周易正易 -易學原理總論. 易經大意. 正 易-                          三和  韓  長  庚  著                                                          도서출판: 삶과 꿈 (2001간)

易學原理總論6-1

원고판독6-1<역학원리총론 삼화 한장경 저>       易學原理總論 - 易學으로 본 人生問題 - 003-2 第一章 天地의 組織 第一節 陰陽과 生命 ■ 運動은 陰陽에서 일어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이 天地間에는 萬物이 가득히 차 있는데, 이 萬物들은 하나도 運動치 아니하는 것이 없고 또 暫時도 運動을 繼續치 아니하는 것이 없으니, 우리는 이것을 살아

易學原理總論6-2

원고판독6-2 <역학원리총론 삼화 한장경 저>       025-2 ■ 太陽과 달의 生成 生命이 氣化 精化하여 처음으로 有形物을 生한 것은 太陽이다. 이것을 易理로써 보건대 乾坤生命元이 運行하여 雷風의 氣를 生하고 雷風의 氣가 運行하여 水火의 精을 生하고, 그것이 乾坤의 統天作用과 水火의 聚散作用에 依하여 乾坤 雷風 水火가 合하여 生命 氣 精의 有

易學原理總論6-3

원고판독6-3 <역학원리총론 삼화 한장경 저>       050-2 써 體를 삼고 있으므로 또한 生長成의 運動이 있어 仁에서 善이 繼生하여 여문 然後에 天性이 되는 것이다. 씨의 生長成하는 過程에는 나무에 水液이 오르고 내리고 枝葉이 生하고 마르고 하는 變化가 있으므로 天性의 生成하는 過程에도 또한 이러한 變化가 있는 것이니, 그러므로 乾道의 躍進

儒敎와 佛敎의 文化 (朝鮮歷史 韓長庚)

유교(儒敎)와 불교(佛敎)의 문화(文化) 고려(高麗) 건국(建國) 이후(以後)에 유교(儒敎)가 들어와서 관가(官家)에서 세운 교육기관(敎育機關)에 의(依)하여 상당(相當)한 발달(發達)을 이루고 이러한 관학(官學)외(外)에 사학(私學)이 있어서 한때 크게 떨치었고 학생(學生)들은 관학(官學)보다도 사학(私學)에 가기를 좋아하였으며 따라서

正易判讀 6-1 韓長庚 著

正易判讀 6-1 한장경 저     002                         正易 十五一言 十五者 正易八卦圖之 十乾天五坤地也 先天乾用九坤用六 九者 陽數生長之極而長極則 進爲十 故后天乾十也 六者 陰數收斂之極而收極則 退爲五 故后天坤五也 十干之數 己爲十戊爲五 故乾十在己十之位 坤五在戊五之位也 乾在己位 故己位之乾天生太陽 爲太陽之父 坤在戊位 故

正易判讀 6-2 韓長庚 著

正易判讀 6-2 한장경 저     051 이 反易이 없고 顚倒하여도 變치 아니하니 이것도 또한 氣東北而固守의 象이다 理西南而交通이라 함은 理西南對氣東北而言 東北固守者氣之質也 西南交通者理之作用也 后天九宮圖 中央十五雷風作用於西南 南有二七 西有四九 行金火互位之政也 十五二七者 雷風山澤而亦十紀 二經 五綱 七緯之數 而爲戊己日月之象 故東北之天地日月固守

正易判讀 6-4 韓長庚 著

正易判讀 6-4 한장경 저     150 十一吟 乙酉 癸未 乙未者 未酉也而未酉 后天之后天也 未酉之象 后天之時運也 二十八者 二十八宿運氣圖也 乙酉大明終始之初三日 故大明乙酉 爲歲象也 癸未爲月之始朔 故朔癸未 爲月象也所以言 乙酉歲癸未月也 十一歸體者 皇中月以五六之十一成體也 皇中月成體則 先天之卯戌五八尊空也 先天月之數尊空則 九二錯綜而金火互易也 火居南 金居